본문 바로가기

IT 정보/기타

빅데이터 활용으로 소셜미디어 분석을 하는 티버즈 사용방법!

반응형

 

 

 

빅데이터 활용으로 소셜미디어 분석을 하는 티버즈 사용방법!

초고속 무선인터넷의 발달로 많은 이들의 삶의 패턴이 큰 변화를 맞았습니다.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고,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으면 찾아보고 쉽게 구매를 할 수 있게 된 것인데요.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확인하고 제품 구매를 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인터넷 반응을 실시간으로 살펴보며 반응들을 토대로 사람들이 어떤 상품을 원하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들의 의견을 표현할 때 SNS,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데요.


티버즈는 빅데이터 활용으로 소셜미디어 분석을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티버즈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티버즈를 통해 소셜미디어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계정 로그인 후 모니터링 화면에서 모니터링 등록을 하여 진행을 하면 됩니다.


모니터링 등록 화면에서 자신이 분석하고 싶은 단어를 입력하면 되는데요. 반드시, 또는, 정확히, 제거 등의 조건으로 단어 검색을 할 수 있으며, 이 중 적어도 한 조건을 선택하여 등록을 해야 제대로 된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지난 10월 초 방영을 시작하여 이제 1/3 정도 진행된 월화드라마 육룡이나르샤를 재미있게 보고 있는 만큼 다른 사람들도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여 육룡이나르샤를 지정하여 티버즈 모니터링 분석을 해봤습니다.


기간은 1일, 1주, 1개월, 3개월 등의 단위로 선택이 가능하며,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등 분석하고 싶은 곳을 골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빅데이터 활용을 하는 것인 만큼 모니터링 분석을 선택하면 결과에 따라 조금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소셜미디어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검색한 기간동안 육룡이나르샤 단어로 41,470건이 사용되었으며, 네이버 블로그 2%, 트위터 9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버즈그래프를 통해 해당 단어가 언제 얼마나 검색되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는데요.


그래프 추이를 보니 제가 검색한 육룡이나르샤는 드라마가 방영되는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그리고 방영 다음 날인 수요일에 특히 많은 반응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세선을 보면 점차 방영을 할수록 해당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져 관심이 점점 많아졌다는 것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티버즈는 국내 최초로 감정분석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데요.


자체 감정사전 DB를 구축하여 긍정/부정의 10가지 상세 감정을 통해 검색한 단어에 대한 감정 측정이 가능합니다. 감정분석도 여러모로 잘 활용할 수 있겠죠?


 


수집된 콘텐츠 메뉴에서는 모니터링 분석 시에 등록한 단어가 포함된 SNS 전체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확인할 수 있는 전체 글들은 트위터 3분, 블로그 5~10시간, 페이스북 1~2일 이내 데이터라고 합니다.


 


그리고 별도로 이상징후 포착 및 관심사용자에 대한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만약 단어 등록을 자사 브랜드로 해두었다면 실시간 대응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한 정보 공유가 활발한 요즘, 빅데이터 활용을 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케터들은 소셜미디어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소비자들이 원하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블로거들은 어떤 이슈들이 있는지에 대한 반응을 즉각 확인할 수 있기에 여러모로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소셜미디어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실 분들은 티버즈에 대해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티버즈 무료 리포트 다운받기
티버즈 무료체험 신청하기
티버즈 최신 리포트 구독하기 구독하기




본 포스팅은 티버즈로 부터 소정의 저작권료를 받고 작성한 글입니다.

반응형